오늘의 미션 : 우리 팀에 숨은 실행력 스위치를 찾아라! |
|
|
안녕하세요! ✨
월요일 아침, 오디보자와 함께 상쾌하게 시작해볼까요?
계획 세우는 거야 다들 고수잖아요.
근데 그다음이 문제죠.
“이걸 과연… 내가 할까? 우리 팀이 할까?”
그럴 때 필요한 게 바로 팀의 실행력과 에너지!
이번 주 오디보자는
|
|
|
목표 실행력을 끌어올리는 팀워크 비법,
우리 팀만의 방향성을 찾은 워크숍 이야기,
조직 문화를 바꾸는 ‘사회적 규범’의 힘까지!
|
|
|
놓치면 아까운 이야기들만 모았어요.
읽다 보면 "아, 우리 팀도 한번 해보자!"
이 말이 절로 나올걸요?
오디보자~~ 함께 시작해볼까요? 🚀
|
|
|
쿠퍼한컷🚀 7시마다 모였다! 뜨거운 학습 주간 by. 멜린다 |
|
|
지난 2월 3~7일, 아침 7시와 저녁 7시 7명의 쿠루가 함께 한 조직개발 세미나가 진행되었어요. 😊
심리적 안전감, 리더십, 동기부여, 성장과 성과 등 다양한 주제를 함께 이야기하고 실무 적용 방안을 고민하는 뜻깊은 시간이었습니다.
뜨거운 학습자로서의 일주일, 함께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
|
🔍 어디 보자... 신년 목표, 실행이 문제라고요? 새해 목표는 세웠는데… 실행은 왜 이렇게 어려울까요? 사실, 실행력이 높은 조직은 개인 노력보다 ‘팀워크’가 핵심!
"화려한 계획과 숫자 목표보다, 구체적인 실행 방법론이 중요하다"는 지적도 있습니다. [관련기사]
🛠우리 조직엔 어떻게 적용하면 좋을까?
- 목표 정렬(Goal Alignment)하기 개인 목표 & 조직 목표 따로 놀지 않게 정렬해야 실행력이 올라갑니다. OKR, KPI 정리했지만 흐지부지되는 이유? 공유 & 피드백 루틴 부족!
💡 주간 목표 점검 미팅하기, 상호 피드백 시스템 도입하기
- 실행리듬(Execution Rhythm) 찾기 실행력이 높은 팀은 "행동 리듬"부터 만듭니다. 스탠드업 미팅, 위클리 체크인, 데일리 리마인드 등 작은 루틴이 모여야 꾸준한 실행으로 연결돼요.
💡 스몰 위닝(Small Wins) 만들기 → 작은 성공이 실행력을 높인다!
- 팀 심리적 안전감(TPS) 만들기 "내가 이 의견을 말해도 괜찮을까?" "실패하면 어떻게 하지?" 심리적 불안감이 사라져야 팀원들이 적극적으로 목표에 몰입할 수 있습니다.
💡 팀원들이 자유롭게 의견을 내고, 서로 신뢰하는 문화 만들기 [관련교육]
🚀 목표 달성, 함께해야 가능합니다! 올해는 ‘팀워크’를 바탕으로 실행력을 높여보는 건 어떨까요? 😉
|
|
|
사례보자🌌 K사 팀 방향성 수립 워크숍 by. 멜린다 |
|
|
조직 구조가 바뀌며 자연스럽게 변화하는 조직 문화. 변화의 소용돌이🌪️ 속에서 우리 팀의 방향이 모호해졌나요? 혹은 지금 하고 있는 일이 과연 맞는 방향인지, 새로운 목표를 설정해야 하는지 고민이 되시나요? 🤔
오늘은 엘린이 진행한 K사 팀 방향성 수립 워크숍 사례를 소개해 드릴게요. 변화 속에서도 팀이 나아가야 할 길을 명확히 하고, 효과적으로 목표를 정립하는 과정이 궁금하다면 끝까지 함께해주세요!
1.어떤 프로젝트를 진행하셨나요?
K사 팀 방향성 수립 워크숍을 진행했습니다. 현재 팀이 가진 이슈를 꺼내놓고, 우리의 정체성과 Core를 찾는 시간이었어요.
- 구체적으로 어떤 방향으로 진행되었나요? 팀의 조직구조가 바뀌고 구성원들의 역할이 바뀌며 정체성에 대해 불안을 표하는 상황이었어요. ‘우리가 의미 있는 일을 하고 있는가?’라는 팀 내부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던 시기였지요. 이러한 걱정이 조직진단에서 두드러지게 나왔고, 명확한 역할과 방향성에 대한 논의의 필요성을 느꼈습니다. 새 팀장님과 함께 팀의 새로운 동력을 발견하고자 이번 워크숍을 진행하게 되었어요.
2. 설계 포인트는 무엇인가요?
팀의 정체성과 방향성을 탐색해 하나의 목표인 Key Focus를 발견하는 것이 목표였어요. 이를 통해 팀의 동력과 협업 에너지를 높이고자 했지요. 크게 두 가지 포인트를 통해 현재 상태에서 나아가 개선 방향으로 연결하고자 했어요.
|
|
|
논문보자🛸 행동을 움직이는 보이지 않는 손, 사회적 규범
by. 조엘 |
|
|
이번 시간에는 조직과 사회에서 변화가 일어나는 원리를 탐구하는 Norms and Beliefs: How Change Occurs (Bicchieri & Mercier, 2014)를 소개할게요!
🔍 어디 보자... 사회적 규범이 뭐길래?
어떤 행동이 지속되거나 변화하는 데에는 단순한 개인의 의지만으로 설명하기 어려운 요인이 있어요. 바로 사회적 규범(Social Norms) 때문이죠! 이 논문에서는 사람들이 특정 행동을 따르는 이유를 다음과 같이 설명해요.
- 경험적 기대(Empirical Expectations): "다른 사람들도 이렇게 행동하겠지?"→ 사람들이 다른 사람들이 실제로 어떻게 행동할지를 예상하며 자신의 행동을 결정해요.
- 규범적 기대(Normative Expectations): "다른 사람들은 내가 이렇게 행동해야 한다고 생각할까?"→ 단순히 다른 사람들의 행동을 따라가는 것이 아니라, 주변에서 기대하는 행동을 따르는 경향이 있어요.
이 두 가지 기대가 강할수록 사회적 규범이 유지되는데, 이를 바꾸려면 단순한 캠페인이나 법적 조치만으로는 어렵다고 해요.
🛠 우리 조직엔 어떻게 적용하면 좋을까?
- 조직 내 문화 변화 전략: 변화하고 싶은 행동을 단순히 권장하는 것만으로는 부족해요. 구성원들이 "다른 동료들도 이렇게 할 것이다"라는 경험적 기대를 가질 수 있도록 행동 변화를 촉진하는 구체적인 사례를 만들어야 해요.
- 리더십과 동료 압력 활용: 리더나 조직 내 인플루언서들이 먼저 변화를 실행하면 나머지 구성원들도 따라가게 될 확률이 높아요.
- 공개적 약속과 피드백: 변화하려는 행동이 조직 내 새로운 규범으로 자리 잡으려면, 구성원들이 공개적으로 약속하고 서로 피드백을 주고받는 환경을 조성하는 게 중요해요.
변화를 원할 때, 단순한 규칙만 바꿀 게 아니라 사람들의 기대와 믿음을 바꾸는 게 핵심이라는 것, 기억하세요! 다음 시간엔 또 다른 흥미로운 논문을 소개해드릴게요. Stay tuned! 🎧 |
|
|
계획된 행동 이론을 더 듣고 싶다면?
😎직지심공 177화를 들어보세요! |
|
|
논어보자👾 코코의 자기반성 Time~! by. 코코 |
|
|
Q. 실행력이 높은 팀이 공통적으로 가진 특징이 아닌 것은 무엇일까요?
🙆♀️퀴즈 풀어보기!
정답은 다음 회차에 공개됩니다.😆 |
|
|
쿠퍼실리테이션그룹
koofa@koofa.kr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 22길 9 아름다운빌딩 9층 02-562-8220
수신거부 Unsubscribe |
|
|
|
|